작년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구글 애드센스와
카카오 애드핏(구. 다음 애드핏) 수익을 비교했었습니다.
1년이 지난 지금 그 수익을 다시 비교해 보니
작년과는 너무다른 결과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3월 30일간(3월은 31일까지 있지만..) 내역을 비교하였습니다.
광고는 동일하게 둘 다 4개를 달았습니다.
제 블로그는 방문자가 주중이 많고 주말이 낮습니다.
따라서 노출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그런데 지난번 수익비교에서는 애드핏이 수익이 많았는데
이번에는 애드센스가 훨씬 많게 나왔습니다.
표로 살펴보면
구글 애드센스 | 카카오 애드핏 | |
노출수 | 255,428 | 472,966 |
클릭수 | 220 | 80 |
예상적립금(원) | 34,862원 | 19,565원 |
지난번 비교 때 말씀드렸다시피
카카오의 장점은 30초마다 새로고침 기능을 사용하여
노출을 늘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새로고침 방법은 이전 글 참조 ☞구글 애드센스 VS 다음 애드핏 수익비교
그 때문에 지난번에는 더 수익이 났었지요
지금도 노출수가 카카오가 2배나 많습니다.
그런데 클릭은 구글이 훨씬 많습니다.
그 변화의 중심은
지난해 12월부터 구글 애드센스에서 네이티브 광고가
적용되면서 부터인데요
카카오 애드핏 광고는 일정한 광고 몇가지가
반복적으로 돌아가는 반면에
구글은 사용자의 관심사에 맞는 광고가 나오기 때문에
더 많은 클릭을 유도하게 되어 있습니다.
또한 한가지 더
구글 애드센스는 클릭수 0 노출수 3,009 일 때 34원이 나온 반면
카카오 애드핏은 클릭수 0 노출수 2,046 일 때 277원이 나온게 보이시죠?
클릭이 있는 경우
광고 금액에 따라 가격이 책정이 되지만
클릭이 없는 경우에는
애드센스는 노출수가 많아도 거의 비슷하게 낮고
애드핏은 노출수에 따른 등락이 큽니다.
(그 요율은 잘 모르겠음)
그래서 노출수가 정말 많은 날은
저렴한 광고를 한 두명이 클릭 하는 것보다
클릭 안하는게 더 금액이 잘 나옵니다.
왜냐하면 클릭이 있는경우 노출수는 반영이 안됩니다..ㅠㅠ
그래서 11월 20일의 경우 노출수를 본다면
수익이 500원정도 나와야 하는데..
저렴한 광고가 4번 클릭이 되어
288원으로 수익이 줄었습니다
종합
방문자 수에 따른 수익은 카카오 애드핏이 더 좋지만
결국 구글이 클릭을 유도하는 능력이 높아서
수익이 더 많이 납니다.
사실 네이티브 광고를 12월 중순부터인가 달았는데
그 이후에 클릭이 없던 날이 거의 없습니다.
어쨌건 상호보완이 되는 점이 있으므로
둘 다 다는게 좋고
하나만 달아야 한다면
구글 애드센스 네이티브광고 추천합니다!
'자료공유 > 1인기업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기업tip] 다음 카카오애드핏(Adfit) 보류사유 운영기준 모음 (0) | 2020.03.18 |
---|---|
[1인기업 tip] 국세청 홈택스6 - 2019년 5월 종합소득세신고(단순경비율 추계신고서) (0) | 2019.05.14 |
[1인기업 tip] 국세청 홈택스5 - 2019년 1월 부가세신고 (0) | 2019.01.27 |
[1인기업 tip] 국세청 홈택스 4_사업용신용카드_2019 부가세신고 공제/불공제 변경 (0) | 2019.01.27 |
[1인기업 tip] 구글 애드센스 VS 다음 애드핏 수익비교 (2) | 2019.01.04 |